
ETF만으로 내 투자 성향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포트폴리오를 만들기 전에 투자계획을 세우는 게 좋습니다. 먼저 초기 투자금을 정하고 앞으로 매월 얼마씩 꾸준히 투자할 수 있는지 이 두 가지에 대해서 정해보면 좋습니다. 각자 나이와 결혼 유무 수입금액이나 지출 성향을 잘 모르기 때문에 각자 상황에 맞게 한번 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투자 기간도 정해보세요.
복리의 마법
그럼 예를 들어서 복리 계산기로 한번 계산해 보겠습니다. 복리 계산하는 사이트에 들어가서 계산을 해보면 되는데 미국주식을 기준으로 달러 복리 계산기를 이용해 계산해 보겠습니다. (Compound interest calculation 복리 계산기를 뜻합니다) 초기 투자금을 1만 달러로 설정해 보겠습니다. 편의상 환율은 1,000원으로 가정하고 가겠습니다. 그동안 직장생활을 하면서 모은 돈 1,000만 원을 초기 투자금으로 해봅시다. SPHD ETF가 주가 기준으로 연 배당률 5%가 조금 넘습니다. 연이율 5% 기준으로 해서 계산해 보겠습니다. 복리 계산은 월 복리로 계산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연리 5%에서 12로 나눠서 월 이자율을 한번 계산해 보면 됩니다. 5 나누기 12는 월 이자율이 0.416% 정도 됩니다. 그럼 이자율은 0.416%이고 기간은 10년으로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매월 얼마씩 돈을 넣을 것인지도 생각해 보면 됩니다. 금액을 1,000달러로 설정해 보겠습니다. 아까 편의상 환율 1,000원으로 가정한다고 했으니 매달 100만 원씩 투자하는 겁니다. 그럼 초기 투자금 만 달러에서 10년 동안 매달 1,000달러씩 투자했으니까 12만 달러를 투자한 것이고 초기 투자금을 더하면 13만 달러가 원금입니다. 복리 이자까지 합치면 총 17만2천 달러 정도이고 복리 이자만 4만2천 정도 된다고 보면 됩니다. 사이트에서 확인해 보면 그래프와 함께 참고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년, 20년 그리고 30녀까지 계산을 해보면 기간이 길어질수록 복리 이자는 눈덩이처럼 점점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복리의 마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복리 이자가 원금보다 더 커지는 그림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순수하게 복리 수익만 더해서 계산한 방법입니다. 연 5%의 배당금을 주는 월 배당 ETF에 투자해서 이 ETF 주가도 매년 5%씩만 상승했다고 가정하면 방금 계산해보았던 것보다 수익이 훨씬 더 커질 수 있습니다.
ETF로만 투자성향에 맞는 포트폴리오 만들기
먼저 항목은 ETF 유형에 대해서 3가지로 나눠서 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지수추종 ETF 두 번째로 고성장 ETF 그리고 세 번째로 고배당, 배당성장 ETF 이렇게 3가지로 나누어서 보겠습니다. 초기 투자 금액은 10만 달러로 가정해보겠습니다. 각자에게 맞는 금액을 정해보면 됩니다. 지수 추종 ETF에는 SPY, QQQ, DIA 이렇게 3가지를 넣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고성장 ETF는 ARKK, XLK 그리고 SKYY 이렇게 3가지를 넣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은 고성장, 배당성장 ETF로는 SPHD, SDIV, VIG로 현재 주가 대비 배당률이 10% 정도 됩니다. 참고로 VIG는 뱅가드 자산운용 기관으로 오랫동안 배당금을 올려준 좋은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다음으로 각 각의 목표 비중을 각자 투자 성향에 맞게 조절해 주시면 됩니다. 고성장 ETF를 높게 설정하고 싶으면 더 높게 설정하면 됩니다. 각 유형의 ETF의 1년, 5년 그리고 10년을 두고 수익률을 서로 비교해 보고 어느 정도의 비율을 더 높게 줄 것인지 정해 보면 됩니다. 그럼 다음으로 실제 수익률이 얼마나 나는지 비교하기 위해서 Portfolio Visualizer라는 사이트에서 확인해 보면 됩니다. 매 포트폴리오에 대한 수익률을 백 테스트 해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이렇게 ETF의 다양한 유형을 기준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수익성 분석을 해보면 됩니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서 자산 배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회사를 퇴사한 은퇴를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변동성이 작고 배당수익이 높은 ETF를 선호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럼 직접 자신의 투자성향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런 다음 백 테스트 포트폴리오 사이트에서 수익률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미국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주 투자의 장단점과 주의할 점 (0) | 2021.08.23 |
---|---|
배당금, 배당성향 그리고 배당률에 대해서 알아보기 (0) | 2021.08.23 |
ETF의 유형 및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기 (0) | 2021.08.22 |
아크 인베스트 ARK Invest 운용사 ETF 종류 (4차산업 종류) (0) | 2021.08.22 |
ETF는 무엇일까요? 누구에게 좋은 걸까요? (1) | 202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