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배당금이 무엇인가요? 주식 배당의 이해


주식을 하면 배당금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배당금은 왜 주는 것이고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배당금은 기업이 일정 기간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순이익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주주가 가져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 주식을 통해 배당금을 받으면 월세를 받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일 년에 1,000억 원의 순이익을 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순이익 1,000억 원에서 500억 원은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나눠 주겠다고 결정을 했다면 배당금 500억 원에서 총 발행 주식 수를 나누면 주식 1주당 배당금이 얼마인지 나올 것 입니다. 총 발행주식이 1억 주라고 가정한다면 당기순이익이 1,000억 원이라고 했으니까 당기순이익 나누기 발행주식 수 1억 원을 하면 1,000원이 나옵니다. 즉 주당 순이익 EPS는 1,000원이 되고 주당 배당금은 500억 원 나누기 1억을 하면 500원 주당 배당금은 500원이 됩니다. 그럼 주당 순이익이 1,000원이고 주당 배당금은 500원이니까 순이익의 50%를 배당금으로 주는 것입니다.

배당 성향 계산하는 방법과 의미


위에서 말했던 기업의 배당 성향을 살펴보면 이 기업의 배당 성향은 50%가 되는 것입니다. 근데 간혹 어떤 기업을 보면 배당 성향이 100%가 넘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만약 어떤 기업의 배당 성향이 200%라고 가정한다면 1년 순이익이 1,000억 원인데 주주 배당금은 2,000억 원을 준다는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그럼 여기서 이런 의문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과연 배당 성향이 100%가 넘으면 좋은 걸까요 나쁜 걸까요? 배당 성향이 100%가 넘는다는 의미는 기업이 번 돈보다 주주에게 나눠주는 돈이 더 많다는 의미입니다. 부족한 돈은 회사에 남아 있는 돈으로 주는 것이니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좋지 않을 것 입니다.

배당률이 무엇인가요?


그럼 주식 배당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렇게 생각 할 수도 있습니다. 주가가 올라가면 배당률도 같이 오르는 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요. 그럼 배당률은 어떻게 계산되는 것일까요? 배당률은 배당금 나누기 주가 곱하기 100을 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주가가 100달러인데 연간 배당금이 7달러라고 가정한다면 7 나누기 100 곱하기 100 이나까 배당률이 7%이겠죠. 그런데 주가가 100달러에서 80달러로 하락한다면 배당률이 얼마가 될까요? 7달러 나누기 80달러 곱하기 100을 하면 배당금은 8.75%가 됩니다. 오히려 배당률이 올라갔습니다. 그러면 배당수익을 목적으로 배당 투자를 하는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우량기업의 주가가 조정을 받았을 때 주식을 사는 게 투자 대비 수익률이 좋을 것입니다. 미국은 오래전부터 주주 배당문화가 발달했기 때문에 주식을 굳이 사고팔면서 차액으로 돈 벌려고 하지 않아도 높은 배당률로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의 80% 이상이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고 주로 분기 배당을 많이 지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달 월세처럼 배당금을 주는 월 배당 지급 기업들도 많이 있습니다. 요즘같이 은행 금리가 낮을 경우에는 배당금도 넉넉히 주고 주가 변동성도 낮은 주식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여 사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처럼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배당금, 배당률 등, 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럼 기업이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나누어 주는 것은 어떤 것을 의미할까요. 기업이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지급한다는 의미는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이 좋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배당금을 꾸준히 올려주는 기업은 오랜 기간 동안 탄탄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주주들에게도 신뢰를 쌓고 주주 친화적인 기업으로 배당에 인색한 기업보다 경쟁 우위를 점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배당금, 배당 성향 그리고 배당률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그럼 기업이 배당금을 주는지 안 주는지 확인하는 방법과 배당률이 몇 %인지 확인하는 방법 그리고 배당금이 언제 지급되는지 확인하는 방법까지도 알아봐야겠는데요. 이 내용은 다음 포스팅을 통해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더불어 미국 주식을 할 때 알면 좋을 미국 기업의 티커를 쉽게 알 수 있는 팁도 알려드리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