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 전문가의 추천 종목 믿어도 될까요?

요즘 경제 관련 전문가들이 유튜브나 블로그에서 많이 활동하는 때도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문자도 많이 받아봤는데 공모주 관련 주식 정보를 보내주며 소규모 투자라도 하기를 권유받은 적도 있습니다. 이처럼 과연 전문가들이 추천해주는 종목을 믿어도 되는 것일까요? 경제 방송에서 어떤 기업을 소개해주거나 추천을 해주는데 그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매출, 순이익과 같은 실적에 대한 얘기가 자세히 없이 어떤 테마로 뜬 종목이라고 추천을 해준다면 그 말만 듣고 주식을 사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조금 다른 이야기로 예전에 어느 방송에서 개그맨 부부가 아파트 청약을 넣어서 나중에 완공되고 가봤다고 하는데요. 아파트가 아주 외진 곳에 있었다고 합니다. 직접 가보지 않고 청약을 넣었다고 하는 것 이죠. 지도로만 대충 살펴보고 앞으로 개방이 많이 되는 지역이라는 말만 듣고 청약을 넣었던 거죠. 결국에는 살기에 너무 불편해서 헐값에 다른 사람에게 넘겼다고 합니다. 전문가가 추천해주는 종목이라고 해서 아무 검증 없이 그냥 사는 것은 이처럼 쓴 사례로 남을 경우가 큽니다. 우리 모두 앞으로 경제 관련 방송에서 전문가들이 추천해주는 것 중에서 그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관해 이야기 하는지 아니면 매출 성장성이나 이익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어떨까요. 예로 들어 앞으로 인공지능 관련 업체가 유망한데 인공지능 관련 종목은 이러 저러한 종목들이 있습니다. 주가 흐름은 이렇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최근에 살짝 조정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매수가는 6,000원 목표가 7,000원 손절가 5,000원입니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방송하는 것을 본 적 있으신가요? 아니면 차트를 보면서 지금 20일선과 60일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황을 보고 매수타이밍을 잡으시기 바랍니다. 라는 이야기도 아마 경제방송을 관심 있게 보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매수가가 6,000원이면 왜 6,000원인지 목표가가 7,000원이면 왜 7,000원인지 아무런 설명이 없습니다. 그리고 투자 기간에 대한 얘기도 잘 하지 않습니다. 제 생각에 이러한 형태의 방송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방송에서는 이처럼 장기투자가 아닌 단타나 트레이딩으로 유도하는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기업의 비즈니스가 앞으로 유망한 산업인지, 그 기업의 독창적인 서비스나 기술력이 있는지, 매출은 증가하고 이익은 내고 있는지 그리고 가장 중요한 주가는 적정한지에 대해서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투자지표들을 동종업계나 산업 평균과 비교해 보면서 내가 보고 있는 기업의 주가가 실적 대비 너무 고평가된 것은 아닌지를 따져보고 주식 매수 여부를 결정 해야 합니다. 만약에 정말 마음에 드는 기업이 있고 앞으로도 유망할 것 같은데 PE Ratio가 너무 높다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먼저 왜 이렇게 높은 것인지 생각해 봐야겠죠. 그 기업이 향후 1~2년 이내에 기대되는 성과로 인해서 앞으로 1~2년 예상 실적치까지 이미 현재 주가에 반영된 것이라면 투자를 고려해 봐야겠죠. 다양한 경우를 보고 자신만의 판단 기준을 세워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현재 내가 생각하는 기업이 PE ratio가 90배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비슷한 업종들이나 산업 평균이 PE Ratio 50배 정도라면 아무리 좋게 보아도 PE ratio 60배 이상은 인정 못 하겠다 한다면 주가가 좀 조정되고 내가 생각한 수준까지 떨어지기를 기다려야 합니다. 하지만 기다려도 주가가 더 안 내려가고 오르면 어떡하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만약에 그렇게 놓친 종목이 있다면 그건 깨끗이 잊어버리시면 됩니다. 적어도 내가 투자 하지 않았다면 손해는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기업 말고도 다른 많은 기회가 또 있기 때문에 나의 기준에서 벗어나는 기업이 있다면 조바심낼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정리


정리하자면 장기투자를 목표로 할 때 경제 방송에서 기업의 비즈니스에 대한 얘기 없이 차트만 얘기를 하고 매수가 목표가 손절가 등과 같은 이야기만 한다면 그냥 거르시면 됩니다. 그래도 관심이 가는 기업이라면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방법대로 내가 세운 기준대로 직접 점검해 보시면 됩니다. 경제 전문가가 추천해주는 종목이라고 해도 반드시 직접 점검을 거쳐야 하고 체크리스트로 점수를 매겨 보신 후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체크리스트 형태의 기록을 남겨 놔야 혹시라도 내 판단이 틀렸을 경우 복기를 해 볼 수 있고 이런 과정을 통해서 내 판단력을 더 정확하고 성숙하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과정 자체가 나의 재산이 된다고 보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