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재무제표를 보고 기업을 체크해 보았다면 이번에는 회사의 가치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도 같이 체크해 보겠습니다.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고 이해한다는 것은 아주 중요한 과정입니다. 내가 이 기업에 투자를 하면 돈을 벌 수 있을지 없을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입니다. 좋은 기업의 주식을 싸게 사느냐 비싸게 사느냐는 그다음의 문제입니다. 일단 좋은 기업인지 미래에 유망한 기업인지 판단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그러려면 이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고 공부하는 게 먼저입니다. 일단 5가지 항목에 대해서 체크해 보고 판단해 보겠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확인하기

첫 번째로 해당 산업에서 몇 위 기업인가를 살펴봅니다. 해당 기업이 현재 1위 기업인지 앞으로 1위가 될 기업인지를 체크를 해보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 독점적인 제품이나 서비스가 있는지. 이 기업이 생산하고 있는 제품의 기술력이나 경쟁사와의 차별점이나 시장 점유율 등을 고려해서 분석해 봤을 때 이 기업이 특히 어느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하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세 번째로 향후 몇 년간 매출이 늘어날 잠재력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이 기업의 시장 점유율과 경쟁자 수를 고려해 봤을 때 이 기업이 유망하다고 판단이 된다면 높은 점수를 주면 됩니다. 결국, 실적이 좋아져야 기업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매출이 앞으로 더 커질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네 번째로는 해당 산업의 시장규모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지입니다. 마찬가지로 시장 규모가 커져야 해당 기업의 매출이 커질 확률도 높아지겠죠. 마지막 다섯 번째로는 경쟁이 치열한가를 살펴봅니다. 경쟁이 치열하다면 예상치 못한 변수가 생길 수도 있어서 점검해 봐야 합니다.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 점검하는 방법의 하나는 증권사 사이트에서 내가 점검해보고자 하는 기업에 대해서 작성해 놓은 보고서를 보고 체크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앞으로 전기자동차 시장이 유망할 것 같으니까 배터리 회사에 투자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해보셨다면 배터리 기술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배터리 용량이나 충전속도를 늘리기 위해서 현재 어떤 연구가 되고 있고 어떤 기업이 어떤 기술을 가졌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저번 포스팅에 작성한 것과 같이 부동산 투자를 한다고 하면 하루 날 잡아서 가 보는 것과 같습니다. 근처에 지하철역이 있는지 직접 걸어서 시간도 재보고 또 학교나 마트가 있는지도 보고하면 반나절 이상 시간을 투자합니다. 주식 투자도 동일 합니다. 오히려 편하게 집에서 이런 자료들을 보면서 공부하고 그런 과정을 통해 적어도 내가 관심 두고 투자하는 분야에서는 전문가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기업의 가치를 확인해 보기

기업의 가치평가에 대한 부분은 투자지표를 보고 분석해 보면 됩니다. 투자지표는 해당 산업의 평균 수치와 경쟁사와의 투자지표 비교를 통해서 종합적으로 판단해 보면 됩니다. 먼저 PE Ratio를 보고 점수를 매겨 보는 것입니다. 먼저 투자지표를 산업 평균과 비교해 보면서 판단해 봅니다. 다음으로는 동종업계와 비교해 보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PSR Ratio, PBR, PEG Ratio를 동일하게 살펴보고 점수를 매겨보는 것입니다. PEG 항목은 과거 3~5년 순이익 증가율 및 향후 예상 순이익 증가율을 고려해서 판단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배당 수익률도 따져보는 것이 좋겠죠. 기업이 현재 성장하고 있는 기업이기 때문에 배당금을 주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때문에 배당 수익률 항목에 대해서는 각자의 투자 성향에 따라서 점수를 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나는 배당 수익률이 중요하다면 이 항목에 점수를 좀 낮게 줄 수 있을 것이고, 배당 수익보다는 미래 성장성에 대한 비중을 높게 본다면 점수를 적당히 줄 수도 있겠습니다.

이렇게 재무제표, 현금흐름표, 비즈니스 모델 그리고 기업의 가치에 대해서 평가를 해보고 점수를 매겼다면 100점 만점 기준으로 해당 기업의 점수를 매겨보면 비교하는 게 더 쉽겠습니다. 이렇게 해서 나만의 투자기준과 원칙을 만들어보면 점수 80점 미만의 기업에는 투자하지 말아야겠다 몇 점 이상의 기업에는 투자해야겠다 라는 기준이 생길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