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주식투자를 하면서 내 상황에 맞는 투자금액과 투자시기를 정하는 방법도 알아야 하죠. 이번에는 그 부분에 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각기 사람마다 모두 자금 상황이 다릅니다. 대학을 갓 졸업한 20대 갓 성인이 직장생활을 한다면 매달 버는 소득이 일정하겠지만, 자본소득을 위한 시드머니가 부족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30대 초반이라면 그동안 근로소득을 통해서 어느 정도의 자금을 모았겠지만, 결혼하거나 집을 장만하는 데 필요한 자금이 될 경우가 큽니다. 그리고 연령대가 50대에서 60대일 경우는 자식들이 대학을 진학하거나 결혼할 때 필요한 자금이 있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내가 지금 가지고 있는 돈이 여유자금이 아니라 어떤 목적에 필요한 목적 자금이라는 것입니다. 내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이 목적 자금인지 여유 자금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지금 내 통장에 있는 돈이 여유 자금이라고 생각했는데 갑자기 1년 뒤에 전세 보증금을 올려 달라는 얘기를 듣고 전세보증금 인상분으로 돈이 나가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지출이 발생할 수 있을 수 있는지 잘 파악해 보아야 합니다. 주식투자는 이 목적 자금으로 하면 안 되고 최소 5년 이내에 쓸 일이 없는 여유자금으로 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2008년 금융위기나 2020년 코로나와 같이 예기치 못했던 일이 생길 경우 내가 투자한 기업의 실적과 관계없이 시장이 전체적으로 하락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런 시기에 급하게 돈이 필요하게 되면 한창 하락한 시기에 주식을 팔아야 하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주식투자를 위해 내가 기업을 분석하고 경제 관련 뉴스나 금융 공부를 할 시간이 어느 정도 있는지 함께 고려해봐야 합니다.

체크해봐야 할 사항

첫 번째로 시드머니가 있는지 살펴봅니다. 두 번째로는 목적자금이 필요한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세 번째로는 내 수입의 20% 정도를 주식에 투자할 여력이 있는지 알아보아야 합니다. 다음 네 번째로는 주식공부를 할 시간이 어느정도 있는지 또한 살펴봅니다. 이런 변수들에 대해서 현재 내 자금상황에서 주식에 투자할 금액을 몇 퍼센트 정할지 한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간 목표 수익률이 얼마나 될지 나 스스로 목표 수익률을 한번 정해 보는 것입니다. 그리고 주식투자를 하는 데 있어서 내가 견딜 수 있는 손실률이 몇 퍼센트까지 인지도 한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내가 현재 여유 자금이 1,000만 원이 있고 매달 내가 버는 급여에서 50만 원 정도를 주식에 투자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연간 목표 수익률 10%로 정해 보겠습니다. 연간 목표 수익률 10퍼센트 기준은 미국 S&P500 지수의 10년 연평균 성장률을 기준으로 잡은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인터넷에 복리 계산기를 검색하여 연간 목표 수익률 10퍼센트를 설정하여 가정해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복리의 마법이 얼마나 큰지 확인해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정리하기

이렇게 현재 여유자금이 얼마나 있고 매달 주식투자에 얼마를 투자할 수 있을지 정한 다음 우리가 정한 목표 수익률에 따라서 기간별로 수익금이 얼마나 될지를 한번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살다 보면 목돈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어쩔 수 없이 주식을 팔아서 아파트를 사거나 자녀가 결혼하게 되었을 때 비용을 지출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내가 얼마를 투자할 것이며 목표 수익률을 이렇게 정했을 경우 몇 년 뒤에 내 투자금이 이렇게 될 것이다 라는 목표를 정해 놓는다면 아무리 긴급한 상황이 와서 주식을 팔아야 하더라도 조금 더 계획성 있게 지출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투자의 대가 워렌버핏이 유성에 이런 내용을 작성했다고 합니다. 내가 죽은 뒤, 아내에게 남겨진 돈은 국채 매입에 10%를 투자하고, 나머지 90%는 전부 S&P500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라 라고요.
연간 수익률 10퍼센트가 너무 낮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10년 동안 꾸준히 투자했을 때 S&P500 지수를 이기기가 쉽지 않다고 많은 투자의 대가들이 말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장기적으로 꾸준히 공부하면서 내 기준을 세우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가져가는 것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