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부분이 주식을 시작할 때 반복하는 패턴이 주식을 샀는데 떨어지면 불안해하다가 결국 버티지 못하고 팔아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는 이유는 다른 종목은 주가가 막 올라가는 게 보이기 때문에 불안해서 팔기 마련이죠. 기업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돈을 벌려면 주식을 싼 가격에 잘 사고 비싼 가격에 잘 팔아야 돈을 벌 수 있습니다. 주식을 사고팔고 단타로 수익을 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주식투자의 기본 개념은 좋은 기업의 주식을 계속 모아가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을 사서 언제가 팔아야 한다면 비싼 가격에 팔아야 돈을 벌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만약에 예를 들어 내가 주식을 사려고 합니다. 현재 그 기업의 주가가 50달러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유망한 기업이라는 확신은 있지만, 이 기업의 주가가 현재는 잘해야 30달러 정도가 적정하다고 본다면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앞으로 예상되는 매출이나 이익까지 고려해서 PE Ratio나 PS Ratio 등등이 멀티플을 산업평균치나 동종업체 검색을 해 보고 판단을 하였을 때, 현재 주가는 30달러가 적당하고 50달러는 너무 비싸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하지만 기업의 앞으로 3년 뒤 5년 뒤 예상 매출이나 순이익을 보니 지금보다 매출이 5배가 오르고 이익도 5배가 오를 것 같아서 50달러가 비싼 것 같지만,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생각하고 50달러에 매수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우선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떠한 종목의 주식을 매수할 때 자신의 자금상황에 맞게 분활 매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최소 3회에서 5회에 걸쳐서 분할매수를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어떤 종목에 5,000달러를 투자하겠다고 생각했다면 1,000달러씩 다섯 번에 나눠서 분할 매수를 하거나 세 번 정도로 나눠서 분할 매수를 해야 하는 것 입니다. 그럼 주식을 분할 매수를 해서 내가 목표한 투자금액만큼 다 들어갔는데 예상과는 다르게 주가가 상승하지 않고 하락을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
주가가 하락할 만한 이유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대형 우량주 기준으로 보겠습니다. 중소형 주들은 작전세력에 의한 주가 상승이나 하락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대형 우량주에 투자했다고 가정을 하고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를 살펴보려고 하는 것입니다. 먼저 첫 번째 이유는 전체적인 시장이 하락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나 2020년 코로나로 인해 전체적인 시장에 타격이 왔을 때 기업의 실적과 상관없이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전반적인 실물 경제가 침체 돼서 실업률이 오른다거나 금리가 인상되어 상대적으로 주가가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 두 번째 이유로는 기업의 실적이 예상과 다르게 저조해서 그럴 수 있습니다. 기업의 실적발표는 분기별로 진행하는데 모든 기업은 연간 실적에 대한 목표가 있고 분기별 목표도 있습니다. 이 단기간 실적은 예상보다 좋을 수도 있고 안 좋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우리가 투자자 입장에서 뭘 체크해 봐야 할까요? 이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사업의 방향성이 내가 생각했던 대로 잘 가고 있는지를 한번 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내가 테슬라 주식을 산 이유 하나가 전기차에서 업계 1위를 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유지를 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는데 1위에서 밀리고 있거나 실적이 저조한 것이라면 매도를 검토해 봐야 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이 종목에 투자를 한 이유가 이 종목은 전기차 시장에서는 1위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해서 주식을 샀지만, 생각과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세 번째 이유는 기업에서 유상증자할 경우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더 찍어내서 돈을 받고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서 공급이 많으면 가격이 내려가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1주당 30달러 하는 주식이 있는데 유상증자를 많이 해서 주식을 더 많이 찍어내서 판다고 가정한다면 당연히 주식의 가격이 떨어지겠죠. 물론 장기적으로 기업의 실적이 좋다면 유상증자를 해서 주가가 하락했다고 해도 다시 주가를 우상향할 수 있습니다. 네 번째 이유로는 기업 내부의 문제 때문에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대표이사나 임원진이 회사에서 큰 사고를 쳤다거나 회사에서 큰 결제 대금을 받아야 하는 데 받지 못했다거나 하는 등의 내부 문제로 하락할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 이유로는 주가가 실적대비 너무 올라서 쉬어가는 개념으로 주가의 조정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섯 가지를 큰 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주식이 만약에 하락한다면 먼저 5가지 중에서 한번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매도의 이유
주식 투자가 훌륭한 기업의 주식을 계속 모아가는 개념으로 봤을 때 매도해야 하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었습니다. 먼저 내가 목표한 기업가치에 도달했을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매도를 할지 목표 기업가치를 상향 조정할지 투자 기간과 목표 기업가치를 수정하고 계속 보유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두 번 째는 내가 생각했던 비즈니스 모델이나 방향성과 다르게 가는 경우 입니다. 테슬라는 전기자동차를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하지만 GM이나 Ford와 같은 자동차 기업들보다 멀티플이 훨씬 높습니다. 시가총액만 보아도 테슬라가 1/5이나 1/6 정도 밖에 안되는데도 불구하고 왜 이렇게 주가가 높은 것 일까요? 시장에서는 테슬라를 자동차 기업뿐만이 아니라 자율주행 플랫폼 기업 그리고 100만대가 넘는 테슬라 차량들이 거리를 다니면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빅데이터를 쌓아 두고 분석하고 있는 데이터 기업으로 보기 때문에 자동차 기업의 멀티플보다 더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만약 내가 테슬라의 이러한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했지만,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포기하고 그냥 자동차만 만들겠다고 한다면 내가 처음 투자를 할 때 생각을 했던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방향성이 다른 것이기에 매도를 고려해 볼 수 있다는 것 입니다.
'미국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에 앞서 투자 금액과 투자시기 정하기 (0) | 2021.09.30 |
---|---|
작전 세력에게 당하지 않으려면 체크해봐야 할 사항들 (0) | 2021.09.29 |
유료 채팅방의 다양한 사례 알고가기 (0) | 2021.09.26 |
경제 전문가나 경제 관련 방송에서 추천해주는 종목 사도 될까? (0) | 2021.09.22 |
배당주 투자의 장단점과 주의할 점 (0) | 2021.08.23 |